강관비계, 시스템비계, 말비계, 브라켓 설치 해체
비계
1. 강관비계 설치 및 해체
[주]
① 본 품은 쌍줄비계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본 품은 비계(발판 및 이동용 내부계단) 설치, 해체 작업이 포함되어 있다.
③ 높이 30m 초과 시 비계설치, 해체 및 비계안전 보강재 설치 품은 별도 계상한다.
④ 가설계단 및 방호시설은 별도 계상한다.
⑤ 공구손료 및 경장비(전동드릴 등)의 기계경비는 인력품의 2%로 계상한다.
⑥ 재료량은 설계수량을 적용한다.
⑦ 손율은‘[공통부문] 2-2-4 구조물비계’를 따른다.
2. 시스템비계 설치 및 해체
[주]
① 본 품은 시스템비계(연결핀 조립)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본 품은 비계(발판 및 내부계단 포함) 설치, 해체 작업이 포함되어 있다.
③ 높이 30m 초과 시 비계설치, 해체 및 비계안전 보강재 설치 품은 별도 계상한다.
④ 가설 계단 및 방호시설은 별도 계상한다.
⑤ 재료량은 설계수량을 적용한다.
⑥ 손율은 ‘[공통부문] 2-2-4 구조물비계’를 따른다.
3. 강관틀 비계 설치 및 해체
[주]
① 본 품은 강관틀 비계 설치 및 해체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본 품은 비계(발판 및 이동용 내부계단) 설치, 해체 작업이 포함되어 있다.
③ 높이 20m 초과 시 비계설치, 해체 및 비계안전 보강재 설치 품은 별도 계상한다.
④ 가설계단 및 방호시설은 별도 계상한다.
⑤ 재료량은 설계수량을 적용한다.
⑥ 손율은 ‘[공통부문] 2-2-4 구조물비계’를 따른다.
4. 강관 조립말비계(이동식)설치 및 해체
[주]
① 본 품은 강관 조립말비계(이동식) 1회 설치, 해체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재료량은 다음을 참고한다.
③ 1대당 비계기본틀(기둥)높이가 증가할 때는 연결핀 및 암록을 별도 계상한다.
④ 손율은 ‘[공통부문] 2-2-4 구조물비계’를 따른다.
5. 경사형 가설 계단 설치 및 해체
[주]
① 본 품은 높이 6m이하에서 강관(φ 48.6㎜), 조립형 발판을 사용하여 가설 계단을 경사 형태로 조립·설치하는 기준이다.
② 가설계단 폭은 0.9m이하, 면적은 디딤판의 면적(계단참 포함)을 기준한 것이다.
③ 본 품은 비계 및 발판 설치·해체 작업이 포함되어 있다.
④ 방호시설은 별도 계상한다.
⑤ 공구손료 및 경장비(전동드릴 등)의 기계경비는 인력품의 2%로 계상한다.
⑥ 재료량은 설계수량을 적용한다.
⑦ 손율은 ‘[공통부문] 2-2-4 구조물비계’를 따른다.
6. 타워형 가설 계단 설치 및 해체
[주]
① 본 품은 일체형 발판을 사용하여 가설계단을 타워 형태로 설치하는 기준이다.
② 가설계단 폭은 0.9m이하, 면적은 디딤판의 면적(계단참 포함)을 기준한 것이다.
③ 본 품은 비계 및 발판 설치·해체 작업이 포함되어 있다.
④ 방호시설은 별도 계상한다.
⑤ 크레인 규격은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변경할 수 있다.
⑥ 재료량은 설계수량을 적용한다.
⑦ 손율은 ‘[공통부문] 2-2-4 구조물비계’를 따른다.
7. 비계용 브라켓 설치 및 해체
[주]
① 본 품은 벽, 슬래브, 난간에 비계용 브라켓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손율은 ‘[공통부문] 2-2-4 구조물비계’를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