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기술사

철골 조립되는 과정 (현장건립공법 종류)

설명이 2023. 2. 1. 08:31
728x90
반응형

철골이 조립되는 과정

(1) 철골공사의 대부분은 공장 제작된 철골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것으로서, 철골의 건립은 철골공사에서 주요한 작업이다.

(2) 건립공법의 선정시에는 공사의 규모 · 입지조건 · 철골의 구조 · 공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또한 경제적이고 작업시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철골 조립되는 과정

 

1. 현장건립공법 선정시 고려사항

(1) 현장의 입지 조건

(2) 철골공사의 규모

(3) 철골의 구조 및 공사기간

(4) 경제성, 시공성, 무공해, 안전성을 고려

철골조립과정

2. 현장건립공법의 종류

1. Lift Up 공법

① 구조체를 지상에서 조립하여 이동식 크레인, 유압잭 등으로 들어올려서 건립하는 공법으로, 체육관·공장·전시관 등의 건립에 이용

② 특징

  • 지상에서 조립하므로 고소작업이 적어 안전작업이 용이
  • 작업능률이 좋으며, 전체조립의 시공오차 수정이 용이
  • Lift Up하는 철골부재에 어느 정도의 강성이 없으먼 채택 곤란
  • Lift Up 종료까지 하부작업이 불가하며 Lift Up시에 집중적으로 인원이 필요

 

2. 스테이지(Stage) 조립공법

① 파이프트러스(Pipe Truss)와 같이 맞춤이 용접구조여서 가조립으로 달아올리기가 불가능한 경우 등에 철골의 하부에 Stage를 짜고 철골의 각 부재를 3Stage에 지지하면서 접합하여 전체를 조립하는 공법

②특징

  • Stage를 작업장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작업
  • 각 부재의 맞춤· 접합시 조정이 용이하고 Stage는 타작업에도 이용 가능
  • Stage 가설비가 고가 Stage 조립공기가 필요하며 Stage 하부의 작업이 곤란

 

3. 스테이지(Stage) 조출공법

① Stage를 일부에만 설치하고 하부에 Rail을 깔아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철골 부재를 조립하는 공법

② 특징

  • 부분 Stage이므로 하부 작업과 조정이 용이
  • 작업장소가 제한되므로 양중설비가 적어도 됨
  • Stage 조립공법보다 공사기간이 길며 숙련을 요함
  • 이동하면서 작업하므로 철골부재에 강성이 필요

 

 

 

4. 현장조립공법

① 부재의 길이, 폭, 중량 등의 이유로 전체를 조립하여 반입하지 못하는 경우 분할반입하여 양중 위치 가까운 곳에서 조립하여 달아 올리는 공법

② 특징

  • 소부재로 분할하므로 운반이 용이
  • 현장에서 조립하므로 장척, 중량물도 양중 가능
  • 현장조립 장소가 필요하며 현장조립 공기(工期)가 추가 소요
  • 대형, 대중량으로 달아 올리므로 계획상의 제한이 많음

 

5. 병립공법(병풍식 건립공법)

① 한쪽 면에서 일정 부분씩 계단식으로 최상층까지 철골건립을 완료하고 순차적으로 계속하여 건립하는 공법

② 특징

  • 이동식 크레인으로 건립시 잘 시행되는 공법으로 조립능률 양호
  • 전부를 한쪽에서 건립해가므로 정리 및 마무리 양호
  • 자립가능한 철골단면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 채택 곤란
  • 제작과 조립순서가 달라 거의 제작 완료되어야 작업 가능

 

6. 지주공법

① 부재의 길이, 중량 등의 제한으로 전체를 달아 올려 조립 불가시 그 접합부에 지주를 세워 지주 위에서 접합을 끝내고 지주를 철거하는 공법

② 특징

  • 분할해서 달아 올리므로 양중기의 적합한 계획이 가능
  • 지주가 있어 접합부의 솟구침 등 조정이 가능
  • 각 부재 접합의 종료 후 지주를 빼낼 수 있으므로 지주의 반복사용이 불리

 

7. 겹쌓기공법(수평쌓기공법)

① 하부에서 1개층씩 조립완료 후 상부층으로 조립해가는 공법

② 특징

  • 철골의 제작과 조립순서가 같아 건립의 조정이 용이
  • 타작업도 어느 정도 시공할 수 있으므로 공정 진행상 무리가 없음
  • 양중기(Tower Crane)를 내부에 설치시 본체 철골 보강 필요
  • 조립 완료 후 양중기 해체시 많은 제약이 따름

 

 

 

 

 

 

함께 추천하는 내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