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반 토질조사 지하탑사법
1. 지하탐사법 이란?
① "지하탐사법" - 지층의 토질 / 지하수 존재 / 지층의 구조 등을 조사하는 지반조사의 방법을 말한다.
② 종류에는 터파보기(Test Pit) / 짚어보기(Sounding Rod) / 물리적 탐사 (Geophysical Prospecting) 등이 있음
2. 지하탐사법의 종류
2.1. 터파보기(Test Pit)
① 삽으로 지반의 구멍을 파서 육안으로 판단하는 방법
② 맨 땅의 위치, 얕은 지층의 토질, 지하수 존재 등을 파악
③ 얕고 경미한 건축물의 기초에 많이 사용
④ 구멍의 거리간격 5.0~10M, 구멍지름 60~90cm
⑤ 터파보기 깊이는 1.5~3m까지 가능
2.2. 짚어보기(탐사간 : Sounding Rod)
① 지름 9mm 정도의 철봉을 이용하여 땅 속에 삽입 또는 때려 박아서 조사하는 방법
② 저항, 울림, 침하력 등에 의하여 지반의 단단함을 판단
③ 얕은 지층의 생땅을 파악
④ 짚어보기 방법이 숙련되면 정확도가 높음
2.3. 물리적 탐사 (Geophysical Prospecting)
① 탄성파, 음파, 전기저항 등을 이용하여 토질조사를 하는 방법
② 지반의 지층구조, 풍화정도, 지하수 존재 등을 파악
③ 흙의 공학적 성질 판별이 곤란하므로 필요시 Boring과 병용하여 조사
④ 지층변화의 심도를 아는 데 편리
⑤ 특징
장점 | 단점 |
- 넓은 지역의 자료를 저비용으로 단시간 내에 조사 가능 - 전체적인 지반상태를 알 수 있음 - 파쇄대, 공동, 지하수 등의 조사 가능 |
- 지층경계의 구분은 가능하나 지반의 특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냄 - 시추조사와 병행하여 지반을 판단하여야 함 - 기계의 조작과 해석에 전문기술 필요 |
⑥ 물리적 탐사의 종류
⑥-1 : 탄성파탐사 (Seismic Prospecting)
- 인공적으로 지하 화약폭발, 지진파 등의 진동을 일으켜 지반의 진동에 의한 탄성파를 발생시켜 그 반사파를 관측하여 탐사하는 방법
- 지질 판정, 지층의 경계선, 암맥의 위치 등을 검출
⑥-2 : 음파탐사 (Sonic Prospecting)
- 발진원으로 전기적 발진기, 수중 방전 등을 이용하여 음파의 반사면을 계측하여 지층의 구조를 탐사하는 방법
- 해저지형의 조사에 많이 사용
⑥-3 : 전기탐사 (Electric Prospecting)
- 지반의 전기적 성질의 차이를 이용하여 지층의 구성을 탐사하는 방법
- 암석층의 구성, 지하수위, 지하수의 유수경로 등의 조사에 많이 사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