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목차
1. 건축구조의 3요소
2. 하중
3. 지진하중에 의한 벽체에 작용하는 힘
4. 벽 철근의 배근방법
5. 철근의 간격, 제한
6. 피복
7. 슬래브 유효깊이 변화에 따른 내력 비교표
8. 슬래브 두께에 따른 SPACER 규격
9. 슬래브의 중간대와 주열대
10. 슬래브 철근 배근방법에 따른 피복
11. 지하 옹벽 및 기초의 철근 피복
12. 보 철근의 배근방법
13. 보 철근배근 형태
14. 보 철근배근 방법
15. 전단 철근의 배근방법
16. 기둥의 배근방법
17. 기둥 크기가 변화하는 경우 배근방법
18. 지하 벽체의 경우
19. 지하 벽체의 배근 방법
20. 철근의 정착과 이음
21. 철근의 이음 및 정착길이
22. HOOK 철근의 정착길이 변경
23. 철근 이음 및 정착길이 계산시 FAQ
24. 보 및 기둥철근의 정착길이 산정하는 위치
25. 단차가 있는 철근의 정착길이 산정하는 위치
26. 기초 철근의 정착길이 산정하는 위치
27. 기초 단부 배근
28. 기초의 휨 철근 정착
29. 건조수축의 발생 원인
30. 소성 수축균열의 발생원인
31. 지연조인트 (Delay Joint 또는 Shrinkage Strip)
32. 보 균열의 종류
33. 건물(시공중, 준공후)의 부력에 대한 검토 방법
34. 지진의 규모와 진도
본문내용
■ 건축구조의 3요소
※ 사용성
부재의 균열, 처짐현상등 건물을 사용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
=>각 나라의 구조 법규 추세
내구성(건물의 수명) 문제 추가됨.
■ 건축구조의 3요소
1. 허용 응력 설계법
하중 계수를 사용하지 않고 재료의 강도를 저감시킴.
예) 철근의 설계 기준강도 Fy = 4,000 kg/cm2
※ 현재에는 잘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SRC 구조에는 사용하는 예가 종종 있음.
2. 강도 설계법 (극한 강도 설계법)
극한강도 : 하중 계수를 곱하여 사용하는 강도
예) 1.4 D. L. +1.7 L. L.
◆ 하중 계수를 사용하는 이유
1) 과재하가 일어날 수 있다.
2) 부재의 단면치수, 재료의 강도 및 시공오차가 있을 수 있다.
3) 구조해석을 위한 모델링의 단순화에서 부정확성이 유발된다.
4) 파괴 결과가 심각 할 수 있다.(파괴 형태 및 파괴 경고)
< 중 략 >
■ 소성 수축균열의 발생원인
소성수축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수분손실로 인하여 발생되는 수축 변형을 말함.
콘크리트의 타설직후에 발생하는 수축 현상의 대부분은 대기와 접하고 있는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발생하게 된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완전히 물로 채워져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으며, 이때 콘크리트내의 수분이 표면을 통하여 증발하게 되면 수축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증발량이 블리딩량을 초과하게 되면 콘크리트 표면에 인장응력이 발생되며, 소성상태의 콘크리트는 거의 강도를 가지지 못함으로 인장을력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균열을 소성수축 균열(Plastic shrinkage cracking)라고 한다.
소성수축 균열으느 콘크리트 타설 후 1~4시간 사이에 물광택이 표면에서 사라진 직후 갑자기 발생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