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토공사 STRUT공법 해체시 주의사항
1. 개요
굴착하고자 하는 부지의 외관에 흙막이 벽을 설치하고 이를 버팀대 및 띠장 등의 지보공으로 지지하여 굴착하는 공법
2. 장점
-
버팀대의 압축강도 그 자체를 이용하므로 응력상태 확인이 가능
-
글착면적이 좁고 깊을 경우 유리하며 연약한 지반도 시공이 가능하다.
3. 단점
-
굴착면이 크게 되면 버팀대 자체의 비틀림, 이음부분의 좌굴이 우려된다.
-
주변지반의 침하발생이 우려된다.
-
일반적으로 1변의 길이가 50M 한도로 굴착평면의 크기에 제한을 받는다.
-
버팀보가 내부에 굴착 및 구조믈 공사에 지장을 준다.
4. 시공순서
5. 시공계획
-
평면계획상 STURT와 본체 기둥과의 간섭에 의한 작업 장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검토
-
서로 직교하는 STRUT는 교차 부분을 보강철물로 긴결시켜 좌굴방지
-
STRUT 배치계획 수립시 작업용 복공판 설치계획 검토
-
STURT 각단의 설치 LEVEL이 각층 SLAB LEVEL과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계획한다. (작업성 확보)
-
하단부 토압 및 해체 계획에 의한 STURT 간격 변화 고려
-
지지말뚝은 STURT의 연결부분 가까이에 설치해서 STRUT의 자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하 방향의 좌굴을 방지
-
BRACKET 등의 보강으로 LEVEL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
-
엄지 말뚝은 벽체 및 굴착면 안정에 대해 충분하돌고 근입깊이 확보
6. 시공시 주의사항
-
작업공간이 확보되도록 설치
-
중간에 STURT가 단절되지 않도록 하고 불가피할 경우 편토압에 대한 검토가 필오
-
이음시 직선이 되게 하고 용접 또는 이음부 볼트상태를 확인
-
STURT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필요
-
인접 공사의 지보공 해체가 시기적으로 빠르고 되메우기가 불량할 경우 붕괴사고 발생이 우려
-
버팀보는 수직하중을 받는 부재가 아니므로 장비나 자재 등을 장기간 무리하게 적제해서는 안됨
7. 해체시 주의사항
-
동일 간격일 경우 하단 STRUT해체시 과다한 응력 작용의 우려가 있다.
STRUT 부재 단면의 적정성
이음부 ,교차부의 구조안정성
선 가시설 지지점의 확보
되메우기 시점 등을 검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