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료공개180

레미콘 공장 골재 저장설비 점검내용 정리 ① 우수, 빙설, 직사광선에 보호될 수 있는 시설이 설치되어 있는가? 콘크리트 용적의 70%를 차지하는 골재는 함수율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인공적으로는 살수 장치 등을 설치하여 관리하고, 야적상태에서는 외부의 환경에 보호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일정한 함수율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외부와 차단된 사일로를 설치하여 저장하는 것이 최적이다. 부지가 허용되는 공장에서는 골재를 야적하는 경우도 있는데, 골재 저장설비는 야적되어 있는 골재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점검사항 골재는 함수율을 관리하기 위해 우수, 빙설,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는 시설이 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지붕, 덮개 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지붕이나 덮개시설이 노후화되었거나, 제기능을 하는지 점검한다.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에 ..
레미콘 공장 점검 길잡이 레미콘 공장 점검 1. 플랜트 개요 레미콘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 설비를 일반적으로 배치 플랜트라고 하며, 점검항목은 배치 플랜트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레미콘의 품질 확 보와 관련있는 사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국내 레미콘 공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배치 플랜트는 설비가 고정되어 있는 정치형(定置型)이 대부분이며 한국산업규격(KS F 4009)에 의하여 배치 플랜트의 믹서 내에서 콘크리트의 혼합을 완료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중앙혼합(센트럴 믹싱) 방식이 일반적이다. 배치 플랜트는 골재의 계량 설비와 혼합 설비가 일체화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탑형(塔型)과 횡치형(橫置型)으로 구분되며, 우리나라에서는 레미콘이 도입된 초기에는 탑형을 설치하였으나, 1985년 이후로는 횡치형의 플랜트가 개발되어 현재는 대부분 횡..
거푸집 공사 사전 검토 내용 거푸집공사 1. 거푸집(Form) 이란? ① 콘크리트의 타설부터 콘크리트가 강도를 발현하여 자립할 시기까지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가설구조물을 말함. ② 거푸집은 연직방향하중(고정하중, 충격하중, 작업하중 등)과 수평방향하중(측압)에 안전하도록 구조적으로 검토/확인되어야 하며, 거푸집의 주요부재는 거푸집 널 / 멍에 / 장선 / 동바리 / 결속재 등이 있다. 2. 거푸집 재료 사전검토 사항 ① 강도 ② 강성 ③ 내구성 ④ 작업성 ⑤ 타설콘크리트의 영향력 ⑥ 경제성 3. 거푸집의 구성재 3.1. 거푸집널 (Sheathing Board) ① 콘크리트에 접하는 부분으로 작업하중을 최소로 전달받아 거푸집의 각 부재로 분산시키는 역활을 하는 가장 중요한 부재 ② 종류 : 목재 거푸집널, 합판 거푸집널, 철..
드레인매트 배수시스템 설계 보고서 드레인매트 배수시스템 1. 검토 목적 본 드레인매트 배수시스템 설계 보고서는기초바닥의 양압력 처리 방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추천된 여러 공법 중 영구배수 시스템에 대한 일련의 지반 및 수리학적 자료와 건축물의 양압력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2. 검토 내용 가. 건축 구조설계도면을 근거로 건축물기초 및 지하층을 포함한 구조형식, 규모와 설계 하중 검토 나. 건축물 주변의 지형과 및 주변 구조물 등의 현황고찰 다. 지반의 지층 분포상태와 수리특성 분석 라. 양압력 처리방법 설계 FEM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지하수 유입경로와 수리모델링에 의한 지하수의 예상침투 유입량 산정 배수시스템의 규격과 수리계산 배수시스템의 배치, 집수정의 크기와 개수 산정 및 Pump용량 추천 마. 배수시스템 시공..
고강도 콘크리트 폭렬현상 고강도 콘크리트 폭렬현상 1. 들어가며 초고층 건물의 주요 수직부재에 사용하게 되는 고강도 콘크리트는 화재에 취약하며, 고온 화재에 노출되어 20~30분 동안 계속 가열되면 콘크리트가 표면에서부터 떨어져 나가기 시작하고 철근을 노출시키게 된다. 노출된 철근은 화염에 닿으면 쉽게 강도를 잃어서 구조체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실재 화재를 견디지 못해 건물이 붕괴된 사례는 여러 건이 있다. 내화성을 보강하지 않은 고강도 콘크리트는 내화구조가 될 수 없으며, 철골조에서 실시하는 내화피복과 유사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구조체를 감싸는 내화피복을 설치해야 한다. 이는 단지 화재로부터 건물 붕괴를 방지할 목적뿐 아니라, 부분적인 화재가 발생한 경우라도 전체적인 건물의 구조적 수명에는 문제가 없도록 하는데 목적..
무진동 발파공법 비교표 무진동 발파공법 비교표 1. H.R.S공법(무진동파쇄, 현장에서많이사용) ① 파쇄원리 천공hole에 원형 할암봉를 삽입 한후 내부의 고무튜브에 유압을 발생시켜 할암봉의 팽창으로 암반에균열주는공법 ② 필요장비 : 천공기, B/K 발전기 ③ 적용 : 건물터파기, 터널, 석재절취, 수중, 특수조건에도 시공이가능 ④ 표준시공법 천공경 : 76mm-105mm 천공깊이 : 1-2m, 공간격 : 70cm-100cm ⑤ 특징 및 주의사항 절개면과 절단면 자유로이조직 연속작업가능 ⑥ 단가 (m3당) 일일량:70-100㎥, 단가:18,000원-20,000원, 할암기장비사용 2. P.R.S공법(무진동파쇄, 현장에서많이사용) ① 파쇄원리 원형으로 만든 할암봉을 천공구멍에 넣고 피스톤의 유압에 의한 작동하여 파쇄 ② 필요장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