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료공개180 사선식 공정표 (바나나 곡선) 공정관리 기법 설명 사선식 공정표 1. 사선식 공정표 사선식 공정표는 일명 바나나 곡선이라고도 하는데 이 공정표는 세로축에 전체 기성고(시공량의 누계)를 표시하고 가로축에 공사기간을 기입하여 예정과 실적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 바나나 곡선 A: 부실공사의 우려가 있으므로 충분히 검토할 사항임. B: 적당한 진척이므로 속도 유지하여 계속 수행함. C: 공정이 늦어져 있으므로 공정촉진을 요함. D: 하한계선안에 있으나 공기완료가 가까우므로 공정촉진 요망. 3. 사선식 공정기법의 장단점 장점 ① 공사 전체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② 시공 진척도를 파악할 수 있다. ③ 예정과 실적의 차이를 파악하기 쉽다. 단점 ① 공사의 세부사항을 알 수 없다. ② 각 공종의 개별사항 및 연관사항을 파악하기 어렵다. ③ 세부적 .. 공정관리의 횡선식 공정표 장점 및 단점 1. 공정관리의 정의 공사에 필요한 자원과 비용의 투입에 대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공종별 작업 활동을 도표화하여 각 시점별 진도관리는 함으로써 목표한 결과물을 완수하기 위하여 공사일정을 계획하고 조정하는 기법 2. 공정관리의 목표 ① 공사계획의 합리화와 과학적 의사결정을 한다. ②투입 자원과 비용의 할당을 효율적으로 하여 적정화를 꾀한다. ③주기적인 진도관리를 통하여 진척사항을 파악하고 대책을 강구한다. ④시공계획의 합리화를 통하여 공사 능률을 향상시킨다. ⑤공사품질을 높이고 공사비 절감에 기여한다. 3. 횡선식 공정표 간트 도표는 1차 세계대전 중 미육군 병기청의 컨설턴트였던 간트(H. L. Gantt)에 의하여 병기 생산 작업을 계획하고 통제하기 위하여 창안된 가장 직접적이고 쉽게 .. 형틀 거푸집 조립 및 해체 공사 준수사항 형틀 거푸집 조립 및 해체 공사 준수사항 1. 정의 거푸집(Form)이란? 콘크리트가 응결 및 경화하는 동안 콘크리트를 일정한 형상과 치수로 유지시키는 가설구조물로서, 조립 및 해체작업시 안전작업수칙을 준수하여 재해를 예방하여야 함. 2. 거푸집 조립시 준수사항 ① 안전담당자 배치 - 거푸집 조립시 안전담당자 배치 후 작업실시 ② 통로 및 비계의 확인 - 거푸집 운반, 설치작업에 필요한 작업장 내의 통로 및 비계가 충분한가를 확인 ③ 달줄, 달포대 등을 사용 - 재료, 기구, 공구를 올리거나 내릴 때에는 달줄, 달포대 등을 사용 ④ 악천후시 작업 중지 - 강풍, 폭우, 폭설 등의 악천후에는 작업을 중지 ⑤ 작업인원의 통행제한 및 집중금지 (하중의 집중금지) - 작업장 주위에는 작업원 이외의 통행을 제한하.. 지질주상도 N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상대밀도 N치 1. N치 (N-Value)? ① N치 란? 지반의 단단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표준관입시험 (S.P.T)에서 샘플러(Sampler)를 30cm 관입시키는 데 필요한 해머의 타격횟수를 말함 ② N치가 클수록 토질이 밀실함. 2. 표준관입시험 (S.P.T) ① 현위치에서 직접 흙의 다짐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63.5kg의 해머를 75c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Sampler를 30cm 관입시키는데 필요한 해머의 타격 횟수 N치를 구하는 시험 ② Boring과 병용하여 실시 ③ 주로 모래지반에 사용하며 점토지반은 큰 편차가 생겨 신뢰성이 저하됨 3. N치와 흙의 상대밀도 모래지반의 N치 점토지반의 N치 상대밀도(g/㎤) 0 ~ 4 0 ~ 2 매우연약 (Very Loose) 4 ~ 10 2 ~ 4 연약(Lo.. 표준관입시험 특징과 활용법으로 N치와 지질조사 결과활용 표준관입시험 지질조사 1. 표준관입시험 ? ① 표준관입시험 (Standard Penetration Test)란? 현위치에서 직접 흙의 다짐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63.5kg의 추를 75c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Sampler를 30cm 관입시키는 데 필요한 추(해머)의 타격횟수 N치를 구하는 시험을 말한다. 2. 표준관입시험 활용 ① 지반의 지지력 추정 ② 지반에 대한 기초구조나 공법의 판단 자료 ③ 토질 주상도 (Soil Boring Log)의 기초자료 3. 표준관입시험 특징 ① 원위치에서의 지반조사의 보편적 방법 ② 흙의 다짐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타격횟수 N치 측정 ③ Boring과 병용하여 실시 ④ 주로 모래지반에 사용 ⑤ 점토지반에서 관입시험을 할 수 있으나 큰 편차가 생겨 신뢰성 저하 4. 표준관.. 건설공해의 발생원인과 방지대책 건설공해 원인과 방지대책 1. 건설공해란? ① 건설공해란 건설공사로 인해 지역 주민이 입게되는 인위적인 재해로서, 주변의 자연 및 생활환경이 손상되어 인간의 건강 또는 쾌적한 생활을 저해하는 것을 말함. ② 건설공사에는 많은 종류의 작업공정이 있으므로 공사착수 전에 주변환경에 대한 영향을 미리 파악해 두어 건설공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해야함. 2. 건설공해의 특징 ① 현장 주변 주민의 민원발생소지가 많음 ② 주변 생활환경과 관계없이 발생 ③ 시각적, 공간적 범위가 적음 ④ 공사 종료와 함께 소멸 3. 건설공해의 종류 4. 건설공해의 요인별 정리 4.1 소음, 진동에 의한 것 ① 해체공사 및 발파공사 : 중량추, 착암기, 구조물 발파등 ② 토공사 : 정지공사(굴삭기, 불도저), 토사운반 등 ③ 기.. 이전 1 ··· 4 5 6 7 8 9 10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