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료공개180

PRD PILE(Perocussion Rotary Method) 공법 P.R.D PILE(Perocussion Rotary Method) 공법 1. 개요 P.R.D Pile은 지상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의 일종으로 R.C.D Pile에 비하여 소구경인 직경 600mm~1000mm까지에 해당하는 단면으로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시공되는 Pile이다. 여러 종류의 퇴적층 및 암반기초는 물론 사면의 대활동에 대한 방지 및 TOP DOWN 공법 등에 다양하게 적용 시킬 수 있으며 저압의 AIR를 사용하므로 주위의 구조물에 피해를 없애고, Pile Driver에 장착된 Hammer Bit를 압축공기에 의하여 타격(Percussion) 하면서 회전(Rotary)시키는 방식으로 지반을 굴착하고 압축공기로 굴착토를 배출하는 공법이다 (1) CASING 압입 및 천공 (2) COL..
현장타설말뚝 공법비교 (PRD vs RCD) P.R.D공법 1. 공법 특성 ALL CASING공법이므로 CASING 하단부에 CASING SHOE를 부착시켜 불규칙한 지층을 CASING SHOE가 좌회전하면서 관입되고 ROD AIR HAMMER를 이용한 HAMMER BIT는 우회전하면서 혼전석층 및 연경암을 상-하 PERCUSSION으로 작동하여 어떠한 지층이라도 한번에 설치가능하며 암반 SLIME 자체는 ROD, HAMMER, BIT로서 AIR SURGING하는 특징이 있고 HOLE 청소 또한 깨끗하게 처리 할 수 있다. 2. 장비구성 1) MAIN BODY(DH558,608,658) 2) P.R.D MOTOR(150HP-240HP) 3) SERVICE CRANE(50T-100T) 4) COMPRESSOR(150PSI,1070CFM) 5) GEN..
영구배수 시스템 배수로 공법(Drain Mat System) 영구배수 시스템 배수로 공법(Drain Mat System) 1. 공법개요 ∙굴착완료 후 굴착면에 시스템배수로 및 유도 배수재 설치 ∙판형 배수재에 의한 지하수유도 ∙Sump Pit에 집수된 지하수를 Pump로 강제 배수 2. 시공 개요도 3. 시공조건 ∙기초시공기준면을 굴착하지 않고 직접 시공 4. 주요 사용자재 ∙ 토목섬유 ∙ 비닐(두께 0.1m/m) 2겹 ∙ 판형배수재 (폭 300mm, 두께 10mm) ∙ 시스템배수로(3.8×9.8m) 5. 시공성 ∙트렌치 등의 터파기 공정 생략에 따른 공기 및 공사비절감 ∙공정이 복잡(기성 재품이 아닌 수작업으로 유도 배수재, 시스템 배수로재 조립) ∙통수단면적 확보를 위해 다수의 배수재 설치 ∙시공두께 : 38mm(시스템 배수로 높이) 6. 안정성 ∙시스템 배수..
영구배수 DCS공법(Dual Chamber System) 영구배수 DCS공법(Dual Chamber System) 1. 공법개요 ∙굴착완료 후 조절장치(Dual-Chamber) 및 주배수관설치 ∙판형 배수재 포설에 의한 지하수집수 ∙Sump Pit에 집수된 지하수를 Pump로 강제 배수 2. 시공 개요도 3. 시공조건 ∙기초시공기준면을 굴착하지 않고 직접 시공 4. 주요 사용자재 ∙ 토목섬유 ∙ 비닐 (두께 0.1m/m) 2겹 ∙ 양면판형배수재 (폭 300mm, 두께 10mm) ∙ PVC Pipe(VG1) ∙ 유도관(∲38) 5. 시공성 ∙트렌치 등의 터파기 공정 생략에 따른공기 및 공사비절감 ∙규격화된 기성제품 사용에 따른 품질관리 및 시공관리용이 ∙후속공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시공두께 : 87mm(Chamber 높이) 6. 안정성 ∙Dual Chamb..
영구배수 PDD 공법(Permanent Double Drain) PDD 공법(Permanent Double Drain) 1. 공법개요 ∙굴착완료 후 굴착면에 설치한 드레인보드로 집수한 후 이중배수관인 PDD관을 통해 집수정으로 배수 ∙Sump Pit에 집수된 지하수를 Pump로 강제 배수 2. 시공 개요도 3. 시공조건 ∙기초시공기준면을 굴착하지 않고 직접 시공 4. 주요사용 자재 ∙ 토목섬유 ∙ 비닐(두께 0.1mm) 2겹 ∙ 드레인보드 (폭 300mm, 두께 12mm) ∙ PDD관 (직경 60mm) 5. 시공성 ∙트렌치를 굴착하지 않기 때문에 굴착공정 생략 ∙드레인보드와 PDD관의 표준화로 시공성 우수, 공기 단축 가능 ∙후속공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시공두께 : 60mm(PDD관 외경) 6. 안정성 ∙드레인보드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지하수를 유도하고, 일..
영구배수 공법 _ 트렌치 공법 트렌치 공법 1. 공법개요 ∙굴착완료 후 최종굴착면에 설치한 드레인보드로 집수하고 추가 굴착 된 트렌치내에 다발관 및 자갈(쇄석)을 채워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수 ∙Sump Pit에 집수된 지하수를 Pump로 강제배수 2. 시공 개요도 3. 시공조건 ∙최종 굴착면 하부에 Trench를 추가 굴착 4. 주요사용자재 ∙ 토목섬유 ∙ 비닐(두께 0.1mm) 2겹 ∙ 드레인보드 ∙ 유공관 또는 다발관(ψ150) ∙ 쇄석 또는 자갈 5. 시공성 ∙트렌치가 기초와 간섭될 경우 기초지반의 허용지내력 저하 ∙트렌치굴착에 따른 시공성 저하 및 공기 연장 ∙시공두께 : 300mm~500mm(트렌치 두께) 6. 안정성 ∙격자형의 트렌치 형성으로 배수능력 확보 ∙트렌치와 트렌치 사이에 드레인보드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부분적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