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료공개180 RCD (Reverse Circulation Drill)공법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공법 1. 개요 역순환 굴착공법(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 이하 RCD공법)은 1954년 독일의 SALZ GITTER사에서 개발한 공법으로 현장타설말뚝 공법 중 가장 대구경이며 깊은 심도까지 시공할 수 있다. 본 공법은 상부 8~10m 정도의 Stand Pipe(Casing) 설치하고 그 이하는 2m 이상의 정수압과 굴착중에 발생되는 자연 이수에 의해 공벽을 유지하면서 굴착한다. 굴착은 특수한 빗트를 회전시켜 지반을 굴착하고 일반적인 Rotary Boring방법에서 물의 흐름과 반대로 Drill ROD Pipe로 순환수와 함께 굴착토를 흡상하여 지상으로 배출하며 배출된 순환수는 침전지에서 토사를 침전시킨후 다시 굴착공으로 Ci.. PRD PILE(Perocussion Rotary Method) 공법 1. 개요 P.R.D Pile은 지상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의 일종으로 R.C.D Pile에 비하여 소구경인 직경 600mm~1000mm까지에 해당하는 단면으로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시공되는 Pile이다. 여러 종류의 퇴적층 및 암반기초는 물론 사면의 대활동에 대한 방지 및 TOP DOWN 공법 등에 다양하게 적용 시킬 수 있으며 저압의 AIR를 사용하므로 주위의 구조물에 피해를 없애고, Pile Driver에 장착된 Hammer Bit를 압축공기에 의하여 타격(Percussion) 하면서 회전(Rotary)시키는 방식으로 지반을 굴착하고 압축공기로 굴착토를 배출하는 공법이다 (1) CASING 압입 및 천공 (2) COLUMN 제작 및 SETTING(비파괴검사) (3) CON'C 타설 및 CA.. IPS 공법과 STRUT 공법의 비교 IPS 공법과 STRUT 공법의 비교 성능구분 IPS 공법 STRUT 공법 강선 편심 배치 방식 토압에 의한 모멘트와 일치 일정한 편심 길이 띠장 길이 Max. 60m 7-12m 겹띠장 여부 띠장 길이 15m 이내 : 단일띠장 띠장 길이 15m 이상 : 겹띠장 겹띠장 시공성 띠장간의 연결이 소수의 볼트만으로 이루어져있다. 터파기 시공시 사용 강재의 양을 거의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고, 가설재 사이의 공간이 넓어져서 시공이 편리하다. 띠장간의 연결에 다수의 볼트가 필요하므로 조립, 해체시 많은 작업량이 필요하다. 경제성 강재량 감소에 의한 공사비 절감. 시공기간 단축과 본 구조물 시공의 편의성등에 의한 추가적인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가설재의 일부에만 사용이 되고 있다. 사용 강재의 절감량이 크지.. 무수축 모르터 표준시방서 무수축 모르타르 표준시방서 무수축 모르터 제1항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무수축성, 비금속성 및 비부식성 충전 모르터의 배합 및 시공에 대한 시방을 제시한다. 1. 이 시방서는 다음의 공사에 적용된다. 가. 구조물의 기둥, 지지판 및 기기지지대 나. 충격, 진동 또는 화학적 침해를 받는 기기지지대 1.1.2 관련시방서 1. 04410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 : 덕트 그라우트 2. 07320 콘크리트 블록 : 블록쌓기의 줄눈채움 그라우트 1.1.3 주요내용 1. 시멘트 그라우트 2. 에폭시 그라우트 3. 시공 1.2 참조규격 1.2.1 한국산업규격(KS) : KS A9001-9003 품질시스템 KS F2424 모르터 및 콘크리트의 길이변화 시험방법 KS F2426 주입모르터의 압축강.. 골프연습장 충돌 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기준 충돌 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기준 건축물 내부로 들어가는 출입구 유리문은 안전유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출입 시 유리문에 충돌되지 않도록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게 유리를 식별할 수 있는 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욕실에 설치하는 샤워부스의 재료가 유리인 경우에는 파손되는 경우에도 비산되지 아니하는 안전유리로 설치하여야 한다. 노유자시설, 교육연구시설의 경우 공용공간의 벽체 모서리는 부딪혔을 때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적정 두께의 완충재를 150cm이상의 높이로 설치하거나 모서리면을 둥글게 처리하여야 한다. * 벽면 충격완충재의 탄성정도나 벽체의 특성에 따라 충격흡수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해당 실내공간의 특성을 검토한 후 재료 결정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하는 놀이터의 바닥 및 벽면은 어린이가 뛰거나 넘어질 때..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기준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기준 공용 계단 및 공용 복도 등에 설치되는 유리난간은 파손되는 경우에도 비산되지 아니하는 안전유리(45킬로그램의 추가 75센티미터 높이에서 낙하하는 충격량에 관통되지 아니하는 유리를 말한다. 이하 같다)를 사용하여야 한다. ※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한 "안전유리"의 기준 제18조(난간) ① 주택단지안의 건축물 또는 옥외에 설치하는 난간의 재료는 철근콘크리트, 파손되는 경우에도 비산(飛散)되지 아니하는 안전유리* 또는 강도 및 내구성이 있는 재료(금속제인 경우에는 부식되지 아니하거나 도금 또는 녹막이 등으로 부식방지처리를 한 것만 해당한다)를 사용하여 난간이 안전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 45킬로그램의 추가 75센티미터 높이에서 낙하하는 충격량에 ..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