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전기술사81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및 안전보건관리자의 선임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선임 산업안전보건법은 산업재해 예방의 책임을 사업주에게 부과하고 근로자에게는 이에 협력하도록 하는 한편 실효성 있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사업장에 산업안전보건 관리 체계를 구축하도록 하고 있다. 즉, 사업장의 직책 · 직급에 따라 차별화된 안전보건 관리 책임을 부여함으로써 산재예방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 안전보건관리(총괄)책임자 선임 선임 사실 확인 방법 : 현장에 비치된 선임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로 확인 선임 대상(시행령 별표 2) 제조업 등 22가지 사업 상시 근로자 50명 이상 농어업, 정보, 금융,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 10가지 사업 상시 근로자 300명 이상 건설업 : 총 공사 금액(발주자가 재료를 제공한 경우 그 재료의 시가 환산액 포함..
산업재해 발생 시 재발방지계획 산재 재발방지계획 산업재해는 반복해서 발생하는 속성이 있기 때문에 발생한 산업재해를 분석, 검토하여, 동종재해 또는 유사 재해의 재발방지에 노력하여야 한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재해 재발 방지계획을 기록/보존(3년간)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1. 산업재해 원인 분석 순서 1) 사실확인 산업재해 발생까지의 과정을 파악한다. 물적, 인적, 관리적 측면에서 사실을 수집한다. 2) 재해요인 파악 물적, 인전, 관리적 측면에서 재해요인을 찾는다. 3) 재해요인 결정 재해요인의 상관관계와 중요도를 고려해 직접 원인 및 간접원인을 결정한다. 4) 계획(대책)의 수립 근본적인 문제점 및 재해 원인을 근거로 동종 또는 유사 재해방지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한다. 2. 재해요인 도출(예시) 재해요인 파악 시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산업재해 발생 시 조치 사항 산재사고 (산업재해) 조치 내용 산업재해가 발생하였을 때는 재발 방지를 위해 재해 발생원인과 재발 방지계획 등을 사업주가 기록하고 보존하도록 의무화하고 있고, 산업재해가 발생한 날부터 1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하여야 하며, 중대재해는 지체없이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에 보고토록 의무화하고 있다. 1. 산업안전보건법 용어 정의 1.1) 산업재해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부상 또는 사망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1.2) 중대재해 산업재해 중 사망 등 재해 정도가 심한 것으로서, 다음의 재해를 말한다. 사망자 1인 이상 발생한 재해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산업안전 사업주 및 근로자의 의무 산업안전보건법의 사업주와 근로자의 의무 산업안전보건법은 사업주 및 근로자에게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관리는 사업주 책임하에서 행해져야 하며, 사업주는 기업경영을 총괄 지휘하고 조직내의 모든 안전보건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된다. 또한 근로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서 노력하여야 하고 근로자는 사업주의 안전보건조치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협조하여야 한다. 1. 사업주의 의무 산업안전보건법은 근로자의 안전·보건을 유지·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사업주에게 부여하고 있다. 의무사항 국가에서 시행하는 산업재해예방 시책 등을 준수하여야 한다. 산업재해 발생 보고의 의무가 있다. 산업재해 기록·보존의 의무가 있다. 산업안전보건법령 요지 게시 등의 의무가 있다. 유해·위험한 장소에 안전·보건표지를 부착하여..
사업장 산업안전보건관리가 왜 필요한가? 산업안전보건관리 산업재해는 재해를 당한 본인은 물론 그 가정에 불행을 안겨주고 기업과 국가는 인력손실로 인한 생산성 저하 등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안겨준다. 산업안전보건관리는 산업재해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유해·위험 요인을 제거하고, 재해 및 직업병을 예방함으로써 근로자가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기업에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1. 산업재해란?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 설비 · 원재료 · 가스 · 증기 · 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기타 업무에 기인하여 부상 또는 사망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2.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법령은 고용노동부 소관 법령으로서 1개 법률, 1개 시행령, 3개 시행규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법 ---- 산업..
토질시험(Soil Test) 토질시험(Soil Test)이란? 흙의 물리적 성질과 역학적 성질을 알기 위하여 주로 실내에서 행하는 시험으로 크게 물리적 시험과 역학적 시험으로 나눌 수 있다. 1. 물리적 토질시험 (1) 비중시험 : 교란시료를 사용하여 흙입자의 비중을 시험 (2) 함수량 시험 : 흙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함수비로 표시 (3) 입도시험 : 교란시료를 사용하여 흙입자의 혼합상태를 알기 위한 시험 (4) 액성·소성·수축 한계시험 : 교란시료를 사용하여 함유량 변화에 따른 흙의 공학적 성질을 측정 (5)밀도시험 : 불교란시료를 사용하여 지반의 다짐도 판정 2. 역학적 토질시험 (1) 투수시험(Premeability Test) ① 투수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으로 시료는 포화상태의 흙을 사용 ②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