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10

강관비계 및 시스템비계 표준 단가 확인 (2022년 기준) 강관비계 및 시스템 비계 2022년 상반기 발표 기준 표준시장단가 입니다. 강관비계와 시스템 비계는 공통공사로 모든 공정에서 표준단가를 확인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검색시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시점에 따라 변화를 추가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1. 강관비계 【단가정의】 ① 강관비계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비계 및 비계발판(이동용 내부계단 포함), 비계주위 수직보호망(그물망), 안전난간의 설치, 해체 작업을 포함한다. ③ 강관비계(발판, 내부계단, 안전난간 포함)의 재료비를 포함하며, 보호망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④ 설치높이 3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 단가를 적용하지 않는다. 【단가보정】 - 공사기간이 3개월을 초과하는 경우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2. 시스템비계 / 자..
공사현장 가배수로 표준 단가 확인 (우기대비) 현장 가배수로 단가 확인 2022년 상반기 표준시장단가 기준으로 PP마대 쌓기 및 가도수로 설치, 물푸기의 단가표 입니다. 공사현장에서 우기철에 항상 우기대비 단가 확인하여 검토해야 되는 내용입니다. 검색시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시점에 따라 변화를 추가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1. P.P마대 쌓기 및 헐기 【단가정의】 ① 이 단가는 흙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P.P(Poly Propylene)마대의 제작 및 쌓기, 헐기에 소요되는 비용을 포함한다. ② 조수 및 유수의 영향이 있는 곳에서는 이 단가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ㅁㅁㄹㅁㄴㄹㅇ 2. 가도수로 설치 【단가정의】 - 가배수로 ① 이 단가는 도수로 설치 전에 임시 도수로의 역할 및 비탈면 유실방지를 위한 비용으로 재료비(P.E필름, T=0.1mm W=1..
방진망 설치 및 해체 2022년 상반기 표준시장단가 방진망 설치 및 해체 2022년 상반기 표준시장단가 입니다. 단위 ㎡당 3,848원 이며 노무비 비율은 95%입니다. 관련 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검색시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시점에 따라 변화를 추가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1. 방진망 설치 및 해체 공종코드 공종명칭 규격 단위 단가 노무비율 AD130.01000 방진망 설치 및 해체 - m2 3,848 95% 【단가정의】 ① 가설울타리 및 가설방음벽 상부에 방진망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설치틀은 기존 가시설을 활용하며, 그물망 설치/해체를 포함한다. ③ 소모재료비(철선)는 포함하며, 방진망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2022년 상반기 흙쌓기 및 헐기 표준시장단가 흙쌓기 및 헐기 2022년 상반기 표준시장단가 입니다. 단위 ㎥당 1,689원 이며 노무비 비율은 26%입니다. 관련 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검색시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시점에 따라 변화를 추가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1. 흙쌓기 및 헐기 표준단가 공종코드 공종명칭 규격 단위 단가 노무비율 AA120.10000 흙쌓기 및 헐기 - m3 1,689 26% 【단가정의】 ① 이 단가는 가설도로 축조를 위한 흙쌓기 및 헐기비용을 포함한다. ② 흙의 다짐 및 운반비용은 제외한다.
구조물 철거공사 2022년 표준품셈 보완내용 구조물 철거공사 표준품셈 사회적으로 구조물 철거공사와 관련하여 관심이 많은 요즘입니다. 건설인 이외에 일반 시민들도 많이들 알고 싶어하는 내용을 기술적으로 정리하여 표준품셈을 올려드립니다. 검색아이의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1. 콘크리트구조물 헐기(소형장비) [주] ① 본 품은 소형브레이커(공압식 또는 전기식)를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헐기 기준이다. ② 철근 절단이 필요한 경우 별도 계상한다. ③ 소형브레이커의 규격은 다음을 기준으로 한다. ④ 잡재료비(치즐 등)는 인력품의 1%로 계상한다. 2. 콘크리트구조물 헐기(대형장비) [주] ① 본 품은 대형장비를 사용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헐기 및 부수기 작업을 기준한 것이며, 폐기물 상차 및 운반은 별도 계상한다. ② 본 품은 기준높이 10m이하..
2022년 아파트 전기차 충전 주차면 5% 의무화 전면시행 전기차 충전시설 의무설치 2022년부터 새 아파트에는 총 주차면수의 5%의 충전기를 의무 설치해야 합니다. 기존의 건축물의경우 공공시설은 2022년부터, 민간시설(아파트 등)은 2023년부터 2% 이상의 전기차 충전소의 시설 역시 의무설치해야 합니다. 다만 주차면수가 100개 이상이거나 안전상의 이유 혹은 충전기 설치가 곤란한 경우엔 지자체장 허가를 얻어야 하는 예외라고 합니다. 현재는 친환경차 전용 주차면에 관한 별도 규정이 전무한 상태이기 때문에 공공기관, 공영주차장 등을 대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관련법령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 2022. 1. 28] [법률 제18323호, 2021. 7. 27, 일부개정] 제8조의2(충전시설 등에 대한 지원) ① 국가와..
2022년 아파트 층간소음 사후 확인제도 도입 아파트 층간소음 사후 확인제도 도입 22년도 새롭게 바뀌는 법규, 제도 중에서 우리 생활과 밀접한 아파트 층간소음관련 사후 확인제도를 정리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 층간소음 이란?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은 입주자 및 사용자의 활동으로 인해 다른 입주자 등에게 피해를 주는 소음을 말합니다. 종류로는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직접충격소음 : 뛰거나 걷는 동작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 공기전달소음 : 텔레비전, 음향기기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 2. 층간소음 기준? 공동주택의 입주자 또는 사용자는 층간소음을 아래에서 설명할 기준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합니다. 구분 주간 야간 1분간 등가소음 최고소음도 1분간 등가소음 최고소음도 직접충격소음 4..
RCS폼 ACS폼 광주에서 APT외벽 붕괴 연성파괴 및 취성파괴 동영상 RCS폼 및 ACS폼의 연성파괴와 취성파괴 광주에서 아파트 외벽이 붕괴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되었습니다. 광주 아파트 외벽 붕괴 동영상 현장 위치는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의 아이파크 아파트 신축공사현장입니다. 2022년 1월 11일(화) 오후 3시 47분경 취성파괴로 추정되는 붕괴가 일어났습니다. 인명피해 여부는 조사 중입니다. 인명사고가 없기를 간절히 기도하겠습니다. 붕괴사고 현장 사진을 살펴보면 골조공사가 진행 중인 현장입니다. 상부에는 ACS폼 또는 RCS폼 (Rail Climbing System) Form 이 적용된 현장입니다. ACS폼과 RCS폼은 건축물 외벽 골조 및 마감 공사를 동시에 진행하기 위해 골조공사용과 마감공사용 비계를 한 번에 일체형으로 한 시스템 거푸집을 말합니다. 상세 기술적..
반응형